티스토리 뷰

목차



    직업상담사 공부방법 합격률

    직업상담사 시험공부방법

    직업상담사 시험공부방법과 응시자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업상담사는 1급과 2급으로 나뉘며 급수에 따라 응시자격이 다릅니다. 직업상담사 2급 시험의 경우 응시 제한이 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하며, 1급 시험은 다음과 같은 자격을 갖추어야 합니다. 직업상담사 1급을 응시하기 위해서는 2급 자격을 취득 후 2년 이상 실무 경력이 있거나, 해당 실무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해야 합니다. 직업상담사 시험은 1년에 1급은 1회, 2급은 3회가 시행됩니다. 필기시험 과목은 5과목으로 동일하나, 직업상담사 1급의 경우, 고급 직업상담학, 고급 직업심리학, 고급 직업정보론으로 좀 더 넓고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합니다. 직업상담사 2급의 필기시험 과목은 직업상담학, 직업심리학, 직업정보론, 노동시장론, 노동관계법규 5과목이며 객관식 4지 선다형이며 문항수는 100문항, 시험 총 응시시간은 2시간 30분입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시험은 직업상담실무를 내용으로 필답형으로 치러지며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입니다. 직업상담사 2급 필기시험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최근 5개년 이상의 기출문제를 반복적으로 풀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론 부분 중 이해가 되지 않는 내용들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공부합니다. 직업상담사 2급 실기시험은 기존 기출문제는 반드시 숙지해야 하며 새로운 경향의 예상문제들도 함께 공부해야 합니다.

     

    합격률 및 난이도

    직업상담사 2급 시험 합격률과 난이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직업상담사 2급 시험은 연 3회 치러지며 가장 최근 시험인 2024년 시험 합격률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2023년 기준 직업상담사 2급 필기시험의 합격률은 63.1%, 59.6%, 58.8%이며, 실기시험의 합격률은 59.1%, 47.7%, 26.49%입니다. 2022년 필기시험은 응시 18,059 합격자는 8,778 합격률은 48.6%입니다. 실기시험은 13,011 응시 4,937 합격, 합격률은 37.9%입니다. 2021년 필기시험은 응시 24,155 합격자는 13,364 합격률은 55.3% 실기시험 응시인원은 16,135 합격자수는 7,731 합격률은 47.9% 2020년 필기시험 응시자수는 19,074 합격자수는 11,827 합격률은 62% 실기시험 응시자수는 15,701 합격자수는 7,241 합격률은 46.1% 2019년 필기시험 응시자수는 22,283 합격자는 11,690 합격률은 52.5% 실기시험 응시자수는 15,119 합격자수는 6,648 합격률은 44%입니다. 최근 5개년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합격률을 살펴보면 필기시험의 경우 평균 50∼60%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으며, 실기시험은 30∼40%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기시험의 경우 회차별 난이도 차가 크기 때문에 반복적인 기출문제 풀이와 새롭게 출제될 문제 경향에 따라 광범위하게 공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직업상담사의 역할과 앞으로의 전망

    직업상담사 2급 취득 후 역할과 앞으로의 직업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업상담사 2급 취득 시에는 구직, 취업알선 상담, 진학상담, 직업 적응 등 직업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상담을 할 수 있으며 노동법규 관련상담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노동부 지방노동관서, 고용안정센터, 인력은행 등 전국 19개의 국립직업 안정기관과 전국 281개 시·군·구 소재 공공직업 안정기관, 그리고 민간 유·무료직업소개소 등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베이비부머의 은퇴와 노인인구의 증가 등으로 은퇴 이후에도 취업을 원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이민 여성 등 외국인력 유입, 청년 실업자 증가, 경력단절 여성 등 취업 및 진로상담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향후 10년간 직업상담사 및 취업알선원의 고용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평생직장의 개념이 점차 사라지면서 은퇴인력 외에도 이직 및 전직을 원하는 중간관리자, 기술전문인력 등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민간시장의 일자리 창출 또한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의 채용문화가 열린 채용, 직무중심채용 등으로 다변화되면서 구인자·구직자 모두로부터 채용 방식 변경에 따른 직업상담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공공부문에서는 청년, 경력단절여성, 고령자, 은퇴자 등으로 나누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민간시장에서는 임원 등 고급 은퇴인력, 기술전문인력 등 분야 및 인력 특성에 따라 사업을 세분하여 전문화하는 추세입니다. 각 지자체의 취업지원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일자리센터에서의 인력 충원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직업상담사 2급 취득 시 직업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