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이러닝운영관리사 시험내용 역할

    이러닝학습 정의

    이러닝운영관리사는 이러닝의 운영과 관련한 운영계획 수립, 활동 지원 및 관리 등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입니다. 이러닝이 무엇인지 이러닝학습 정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러닝이란 전자적 수단, 정보통신 및 전파, 방송기술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을 의미합니다. 불과 일이십 년 전까지만 해도 방송을 통한 학습은  EBS 방송이 전부였습니다. 현재는 전자기기 및 전자매체 기술이 발달하고 과학기술이 발전하며 다양한 네트워크를 매개체로 삼아 이러닝 학습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러닝의 발달로 인하여 우리에게 친숙한 매체인 TV, PC, 태블릿 심지어는 휴대폰을 이용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닝 학습이 발달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바로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코로나 19 바이러스입니다. 자가 격리 등이 일상이 되며 학교에서 대면 수업이 불가능한 상황이 찾아왔고 이로 인해 이러닝의 이러한 장점들은 더욱 효과를 내게 되었습니다. 최근 들어 이러닝이 많은 사람들에게 더욱 주목받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러닝이 가진 여러 장점 때문입니다. 이러닝 학습의 장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러닝 학습의 장점은 일반 학습, 대면 학습에 비해 시간 및 공간, 장소의 제약이 덜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이러닝 학습의 경우 반복학습이 가능합니다. 영상을 통해서 수업을 하다 보니, 공부를 하면서 반복재생이나 다시 보기 등이 방법을 활용해 여러 번 반복학습이 가능해 대면 학습에 비해 활용도가 높습니다. 특히 독학으로 공부하는 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 시험 내용

    이러닝운영관리사 시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 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으로 나뉘며 필기시험의 경우 이러닝 운영 계획수립, 이러닝 활동지원, 이러닝 운영관리 3가지 과목으로 구성돼 있으며 객관식으로 치러집니다. 실기시험의 경우 이러닝운영실무를 내용으로 필답형으로 치러집니다.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이 합격 기준입니다. 다음으로 이러닝운영관리사 공부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 필기시험공부를 위해서는 이러닝 산업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산업동향, 분류체계, 산업용어에 대해 공부하고 암기해야 합니다. 이러닝 서비스, 콘텐츠, 시스템, 인프라의 특성은 실기시험에도 출제되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운영지원도구를 분석, 선정, 관리하는 방법과 도구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교육과정관리를 진행할 때 필요한 요소와 관리 항목들 또한 철저하게 구분하여 공부해야 합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 실기시험을 분비하려면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관리에 관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기본적인 시스템에 관한 내용을 익히고 학습 프로그램의 특성을 꼼꼼하게 체크해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득 후 역할 및 앞으로의 전망

    이러닝운영관리사 취득 후의 역할 및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몇 년간 급격히 성장한 온라인 교육산업에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며 이러닝운영관리사의 역할이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 취득 시에는 교육 콘텐츠의 제작 및 품질 관리, 학습 관리 시스템의 운영, 사용자 지원 및 피드백 관리, 교육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관리입니다. 교육 목표에 맞는 콘텐츠를 설계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통합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습니다. 그 외에도 학습자의 피드백과 학습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작업을 하며 학습 관리 시스템의 운영 및 관리를 합니다. 현대사회 기술의 발전으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가상현실(VR) 등 새로운 기술이 온라인 교육에 접목되면서 이러닝운영관리사에게는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인 역량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닝운영관리사는 디지털 교육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온라인 교육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그 수요와 전망도 계속해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육 기술, 콘텐츠 개발, 데이터 분석, 사용자 지원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꾸준한 자기 계발이 요구됩니다. 코로나19 이후 이러닝 학습의 체계가 구축되며 이러닝운영관리사의 앞으로의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025년을 기점으로 디지털교과서가 시범운영되며 온라인 교육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