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취득 후 하는 일과 전망
소방안전교육사 취득 시에는 보육시설의 영유아, 유치원의 유아, 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소방안전교육과 훈련을 실기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방안전교육사로 일을 하면 소방안전교육의 기획, 진행, 분석 및 평가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데 됩니다. 소방공무원 응시생들이 주로 준비하는 자격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소방시설관리사, 간호사, 응급 구조사, 소방안전 관리자, 의용소방대원을 준비할 때 도움이 되는 자격종목입니다. 소방안전교육사는 보유한 사람이 많지 않은 자격종목으로 취득하면 취업에 도움이 됩니다. 소방안전교육사 취득 시에는 소방청, 소방본부 또는 소방서와 한국소방안전협회, 한국소방산업기술원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위험에 대비하고 화재 시 안전한 소화를 위해 여러 가지 관련법으로 자격을 규정하고 있어 전문성이 높은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최근 빈번한 화재사고로 인해 안전 중요도와 관심이 증가하면서 소방자격증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건물들이 고층화 및 심층화되고 고압가스나 위험물을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등으로 재해 발생 시 위험도가 높아지며 인명구조 및 화재진압 규모의 부담이 커져 이에 대응할 진압요원과 소방 관련 전문 인력의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될 것입니다. 소방안전교육사 취득 후의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
소방안전교육사 응시자격
소방안전교육사 응시자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각 법령에 따른 응시자격입니다. 소방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소방공무원으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①소방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②중앙소방학교 또는 지방소방학교에서 2주 이상의 소방안전교육사 관련 전문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 유아교육법 제22조에 따라 교원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영유아보육법 제21조에 따라 어린이집의 원장 또는 보육교사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보육교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보육교사 자격을 취득한 후 3년 이상의 보육업무 경력이 있는 사람만 해당한다)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관에서 소방안전교육 관련 교과목(응급구조학과, 교육학과 또는 제15조 제2호에 따라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소방 관련 학과에 개설된 전공과목을 말한다)을 총 6학점 이상 이수한 사람 ① 고등교육법 제2조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학교 ②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라 학습과정의 평가인정을 받은 교육훈련 기관, 국가기술자격증 제2조 제3호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의 직무분야 중 안전관리 분야(국가기술자격의 직무분야 및 국가기술자격의 종목 중 중직무분야의 안전관리를 말한다. 이하 같다)의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6조에 따른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 국가기술자격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의 직무분야 중 안전관리 분야의 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안전관리 분야에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국가기술자격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의 직무분야 중 안전관리 분야의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안전관리 분야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의료법 제7조에 따라 간호사 면허를 취득한 후 간호업무 분야에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36조 제2항에 따라 1급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급의료 업무 분야에 1년 이상 종사한 사람,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36조 제3항에 따라 2급 응급구조사 자격을 취득한 후 응급의료 업무 분야에 3년 이상 종사한 사람,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3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3조 제2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격을 갖춘 후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1년 이상 있는 사람,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3조 제3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격을 갖춘 후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실무경력이 3년 이상 있는 사람, 의용소방대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3조에 따라 의용소방대원으로 임명된 후 5년 이상 의용소방대 활동을 한 경력이 있는 사람, 국가기술자격법 제2조 제3호에 따른 국가기술자격의 직무분야 중 위험물 중직무분야의 기능장자격을 취득한 사람 등입니다.
시험 난이도 및 합격률
소방안전교육사 시험 난이도 및 합격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최근 시험인 2024년과 2023년 통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2022년에는 1차 27.95%, 2차 11.76%로 다른 회차에 비해 비교적 낮은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1년엔 시험이 치러지지 않았습니다. 2020년 1차, 2차 합격률은 61.8%, 38.5%이며, 2019년 1차, 2차는 각각 67.3%, 72%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전체적인 통계로 2014년부터 2018년도 까지 1차 시험의 경우, 25.3%~63.82%, 2차 시험은 11.5%~72.03%로 합격률이 회차별 다릅니다. 소방안전교육사는 합격률에서 알 수 있듯이 연도별로 시험 난이도 편차가 매우 큽니다. 난이도가 낮아 합격률이 높았던 회차도 있지만 국가전문자격증인만큼 소방에 대해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합격할 수 있는 시험은 아닙니다. ;앞에서 살펴본 대로 회차별 난이도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비전공자라면 시험공부를 계획적으로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