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산림치유지도사 응시자격요건 취득방법

    산림치유지도사 응시자격요건

    산림치유지도사는 산림치유활동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제정된 자격종목입니다. 자격증 취득 후에는 식물치유, 식이치유, 운동치유 등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은 1급과 2급으로 나뉘며 각 등급별 응시자격요건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림치유지도사 1급 응시자격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급 산림치유지도사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1급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입니다. 첫째, 2급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산림치유와 관련된 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둘째, 고등교육법 제35조에 따라 의료, 보건, 간호 또는 산림 관련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입니다. 셋째,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술사 중 산림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술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산림치유지도사 2급 응시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으로서 양성기관에서 운영하는 2급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사람입니다. 첫째, 고등교육법 제35조에 따라 의료, 보건, 간호 또는 산림 관련 학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그에 준하는 학위를 취득한 사람입니다. 둘째, 고등교육법 제50조에 따른 의료, 보건, 간호 또는 산림 관련 전문학사학위 또는 다른 법령에 따라 그에 준하는 학위를 취득한 후 해당 전공 분야에서 2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셋째, 산림치유 관련업무에 4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넷째, 산림교육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10조 제1항에 따른 산림교육전문가자격증을 취득한 후 각 자격증에 해당되는 분야에서 3년 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사람입니다. 다섯째,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기사 중 산림청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입니다.

     

    자격증 취득하는 방법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취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위에서 살펴본 응시자격요건을 갖춘 사람은 우선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에서 양성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양성교육과정은 신청자 전원이 참여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지원 후 선별이 되어야 양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양성기관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홈페이지의 자격증 관리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각 지역별 양성기관에서 양성교육을 이수한 후에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시행하는 각 과정별 자격증시험에 응시해 합격하면 자격증을 취득하게 됩니다. 1급과 2급 모두 시험과목은 동일합니다. 시험과목은 4과목으로  산림치유 대상이해, 산림치유자원이해, 산림치유 기획관리, 산림치유프로그램 기획입니다. 객관식 5지선다로 치러지는 각 과목에서 100점을 만점으로 해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이면 합격입니다.

     

    산림치유지도사 취득 후 역할

    양성과정 후 시험에 응시해 합격하면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갖추게 됩니다.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에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치유의 숲이나 자연휴양림 등으로 진출해 산림복지시설에서 산림치유지도사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산림을 활용하여 대상별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용자에게 제공합니다. 또한 치유의 숲으로 진출한 경우 숲길이나 연못, 야생화 등을 관리하는 일 등을 수행하게 됩니다. 1급 산림치유지도사의 경우 산림치유프로그램의 기획, 개발, 매뉴얼 작성, 실행계획 수립, 산림치유지도사의 교육계획 수립 등 산림 치유에 대해 전반적인 기획을 담당하게 됩니다.  2급 산림치유지도사의 경우 산림치유프로그램의 활동계획 수립, 참가자 관리, 시설 및 이용자의 안전관리 등 산림치유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자들을 직접 관리하는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산림치유지도사 취득 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몇년사이 코로나 19로 인해 답답한 일상을 보낸 사람들이 자연에서 치유하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중년 이상의 스포츠였던 등산을 젊은 사람들도 선호하고 있으며 숲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현대인들은 직장이나 가정 내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됩니다.스트레스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스트레스의 발생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산림자원의 중요성과 숲에서의 치유 프로그램 인기가 높아지며 산림치유지도사 취득 후의 전망은 매우 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