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변리사 시험공부방법
변리사 시험공부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민법의 경우 모든 법의 기초가 되는 법으로서 특허법, 상표법, 민사소송법과 연관이 되기에 확실하게 개념을 공부해야 합니다. 민법개론을 공부하면서 본인의 법학적성을 파악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민법, 특허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순서로 공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복습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주요 판례를 잘 숙지하는 것보다는 지엽적인 판례의 결론까지 잘 알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합니다. 암기보다는 이해를 중점으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연과학개론의 경우 단시간에 성적의 변화를 이끌어내기가 어렵기에 꾸준히 시간을 투자하여 공부해야 합니다. 상표법의 경우 조문집에 있는 빈칸을 채우지 않고 읽으면서 빈칸 상태로도 완전한 조문이 읽을 수 있는 정도로 이해 및 암기해야 하며, 기출문제집 및 객관식 문제집을 풀면서 핵심이론정리를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디자인보호법의 경우 실생활과 많이 연결이 되어있어 접근이 어렵지 않으나 심사기준을 주의 깊게 공부해야 합니다. 특허법의 경우 조문 문제나 심사기준에서 판례 부분에서 자주 틀리는 판례는 반드시 암기해야 합니다. 또한 변리사 시험 기출문제뿐 아니라 변호사 시험 모의고사와 기출문제를 꼭 살펴보는 것도 필요합니다. 사례문제의 경우 내가 얼마나 기존판례를 잘 알고 있는지가 중요하며 암기한 내용을 사례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으로 반복 연습을 해야 합니다.
시험 난이도와 합격률
변리사 시험 난이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리사 시험은 난이도가 매우 높고 공부량이 많은 전문자격시험으로 유명합니다. 이 때문에 수험생들의 평균적으로 시험을 준비하는 기간도 최소 2년에서 최대 6년 이상으로 상당히 긴 편입니다. 공인회계사, 감정평가사와 함께 가장 난이도가 높은 전문자격시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5개년 최종 합격률을 살펴보면 대략 20%의 합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변리사 시험제도의 경우 산업재산권법, 민법개론, 특허, 상표법, 민사소송법과 같은 다양한 법률에 대해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변리사 시험 1차 합격률을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은 3,305명이 응시하고 613명이 합격해 20.20% 합격률, 2022년엔 3,349명이 응시하고 602명이 합격해 17.97% 합격률, 2023년도 응시인은 3,312명이 응시하고 665명이 합격해 20.07%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가장 최근 시험인 2024년은 3,071명이 응시하고 607명이 합격해 19.76%의 합격률을 보입니다. 변리사 2차 시험 합격률을 살펴보겠습니다. 2021년 1,111명이 응시하고 201명이 합격해 18.09%의 합격률 2022년은 1,093명이 응시하고 210명이 합격해 19.21% 2023년은 응시인원 1,116명 중 209명이 합격해 18.72%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4년에는 1,149명이 응시하고 200명이 합격해 17.40%의 합격률을 보입니다.
직업 특성과 취득 후 역할
변리사 직업 취득 후 역할과 직업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변리사란 우리나라의 공업소유권 제도가 창설됨에 따라 함께 제정, 유지되어 온 자격 종목으로 취득 시에는 특허법률사무소, 특허청 심사관, 특허부서가 있는 기업체 등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 새롭게 개발되는 신기술에 대해서 발명자와 출원인의 권리 보호를 위한 업무가 늘어나고 있고, 사회의 다양화에 따라서 권리분쟁의 범위 또한 확대되어가고 있어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전문 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제정된 자격종목입니다. 변리사 취득 후의 역할을 살펴보면 산업 재산권에 관한 권리 취득이나 산업 재산권과 관련된 분쟁의 업무를 담당하게 되며, 산업 재산권의 출원과 등록까지의 절차를 대행해 주며,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특허 관련 법률적인 부분과 특허신청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변리사의 경우 다른 직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성별이나 연령에 따른 고용차별이 적어 평등이 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금과 복리후생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규직으로 고용되는 비율이 높고 고용도 잘 유지됩니다. 타 직종과 비교했을 때 업무시간과 업무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근무환경은 쾌적합니다. 사무직이기에 육체적인 스트레스는 크지 않지만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큰 것으로 나타납니다. 법률과 비롯한 다양한 전문지식이 필요하며 업무에 대한 자율성과 권한은 크며 사회적으로 평판이 좋고 사회기여나 직업소명에 대한 의식이 높습니다. 또한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고 역량 강화할 기회가 많은 편이며, 능력에 따른 승진 기회와 이직 기회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