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농산물품질관리사 공부방법 난이도 전망

    농산물품질관리사 공부방법

    농산물품질관리사 시험공부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시험은 총 4가지의 과목을 평가하며, 각 과목당 25문항이 객관식으로 출제됩니다. 시험시간이 촉박한 수준은 아니겠으나, 유통론이나 관계 법령과 같은 과목이 함께 출제가 되고 있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1차 시험을 준비할 때에는 4과목을 전체적으로 꼼꼼하게 준비하되, 어려운 과목에 있어서는 최다 빈출 유형이나 개념을 더욱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또한 1차 시험의 과목들이 2차 시험과 연계가 되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1차 시험을 준비할 때에 개념 정리를 확실하게 해야 2차 시험 준비가 쉽습니다. 1차 시험은 다른 시험과는 달리 4가지의 과목이 혼합되어 문제가 출제됩니다. 4가지 과목 중 어느 한 과목에 치중하기보다는 골고루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 2차 시험은 농산물 품질관리에 대한 실무와 농산물 등급판정에 대한 실무 내용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단답형 10문항, 서술형 10문항으로 출제되며 시험시간은 총 80분입니다. 단답형은 서술형에 비해 비교적 쉽게 풀이할 수 있습니다. 서술형의 경우는 많은 시간을 투자해 공부해야 합니다. 단답형 문항은 문제를 보면 바로 답이 나오도록 반복적으로 기출풀이를 해야 합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 제2차 시험 기출이나 전년도 시험지를 찾아보고 단답형 문항이 어떠한 방식으로 출제되는지, 자주 출제가 되는 유형이나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아두고 반복 연습을 해야 합니다. 서술형의 경우 긴 답안을 한꺼번에 적어야 하기 때문에 시험 당일 당황하여 중요한 내용을 빼먹지 않도록 반복적으로 답안을 작성하며 연습해야 합니다. 또한 기출문제뿐 아니라 새롭게 출제될 문제를 예상해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난이도 및 합격률

    농산물품질관리사 시험 난이도 및 합격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자는 평균적으로 20~30% 정도의 합격률은 보이며 1차 시험 난이도는 다른 시험과 비교할 시 중간 정도의 난이도로 평가됩니다. 2차 시험의 경우 실무 중심 문제가 출제되며 실제 품질을 관리하는 과정을 평가합니다. 각종 사례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문제 해결 능력을 필요로 하고 1차 시험에 비해 난이도가 높습니다. 최근 3개년 농산물품질관리자 합격률을 살펴보겠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 1차 시험의 합격률은 30% 내외, 2차 시험의 합격률은 25%∼30% 사이로 확인됩니다. 2021년 1차 시험 합격률은 30.9%, 2차 시험 합격률은 25.7%로 나타났으며, 2022년 1차 시험 합격률은 27.1%, 2차 시험 합격률은 29.3%로 확인됩니다. 이어 2023년 1차 시험 합격률은 29.9%, 2차 시험 합격률은 27.5%를 기록했습니다. 가장 최근 시험인 2024년 2차 시험의 경우 636명이 응시해 62명이 합격했습니다 2019년 이후 가장 낮은 합격률인 9.74%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4년을 제외한 연도의 평균 합격인원은 180명 내외입니다. 합격자 연령대 분포를 살펴보면 20대가 가장 많고 그다음이 40대, 30대, 50대, 60대 순으로 나타납니다.

     

    미래전망 및 역할

    농산물품질관리자 취득 후의 미래전망과 역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농산물에 대한 여러 브랜드와 그 가치를 유지하고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현 상황에 있어서는 농산물품질관리사라는 직업의 필요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실제로 농산물과 관련된 관리법이 개정이 되고 있어 전문 인력의 확보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에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FTA 협상이 된 이후 농산물품질관리자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FTA를 통해 시장이 개방되면서 품질이 낮은 외국의 농산물이 국내로 들어오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우리 농산물과 품질이 높은 외국 상품들을 적절하게 구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성이 더 커졌습니다. 농산물품질관리사 자격을 취득한 후에는 다양한 곳으로 진출이 가능해 취업을 크게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농산물 분야의 유통이나 상품 개발 분야에 있어서는 필수 자격증으로 불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친환경 농산물과 유기농 식품이 인기를 끌면서 농산물품질관리사의 업무가 중요하며 다양한 업체로 진출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농업 관련 공공기관인 농촌진흥청, 농림축산식품부, 농산물 유통업체, 농협, 농산물 검사센터 등으로 진출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