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검수사 취득 후 역할
검수사 자격은 제삼자의 위치에서 공정한 검수표를 작성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자격입니다. 검수사 자격 취득 후 수행하게 되는 역할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수사는 수출입화물검수사라고도 불리며 수출입 화물이 무사히 수하주에게 인도되기까지 선적, 양하, 환적 등 모든 화물의 정확한 개수를 계산할 뿐만 아니라, 화물의 상태 확인 및 수도의 증명등을 거쳐 검수표를 작성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검수업은 수출입 화물이 송하주로부터 수하주에게 인도되기까지의 선적, 양하, 환적 등 모든 화물의 정확한 개수의 계산, 상태의 확인 및 수도의 증명을 행합니다. 화물사고에 따른 선박회사 및 하주의 권익보호를 위한 객관적인 제삼자의 관점에서 검수사에 의해 공정하고 정확하게 검수표를 작성합니다. 이 검수표는 무역 당사자간의 분쟁 및 책임의 소재를 명확히 구분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업무를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본선적부도를 가지고 실제 컨테이너 적양하 위치를 확인합니다. 둘째, 양화화물 위에 타 화물 적재 유무를 확인합니다. 셋째, 냉동화물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지 확인하고 온도측정기를 확인합니다. 넷째, 적부도상의 화물이 틀릴 경우 수석검수원에게 보고합니다. 다섯째, 상의 야드 근무 시에는 컨테이너 번호, 봉인번호를 확인하여 검수표에 기록합니다.
시험 공부하는 방법
검수사 시험 합격을 위한 공부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검수사 시험은 1차와 2차로 나뉘며 1차 시험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검수사 1차 시험은 필기시험이며 시험과목은 두 과목으로 검수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 영어입니다. 해당 과목에 대한 기초이론을 숙지 후 최신 문제집을 참고하여 과년도 기출문제들을 반복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국산업인력공단 홈페이지에서 검수사 과년도 기출문제 다운로드가 가능하니 기출문제를 다운로드해 공부하면 좋습니다. 영어과목은 다른 자격 종목의 영어시험에 비해 쉽게 출제됩니다. 교재의 기출문제를 반복적으로 공부하면 합격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난이도가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검수에 대한 일반지식 과목에서 건헌표 및 위험물 관련한 내용을 세세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암기해야 하며 반복학습이 가장 중요니다. 검수업을 처음 접하는 경우 생소한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다양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비전공자의 경우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론서와 유튜브 등의 강의를 통해 기본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수사 2차 시험공부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차 시험의 경우 1차 시험에서 다뤘던 내용을 면접을 통해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1차 필기시험 시 공부했던 내용 중 중요 질의에 해당하는 내용을 반드시 암기해 제대로 말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면접시험에 관한 정보를 충분히 검색해 보고 해당 자료를 참고해 실전처럼 연습하는 것이 2차 면접 중비에 도움이 됩니다.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인터넷과 유튜브 등의 자료를 통해 독학으로 준비합니다. 학원이나 온라인 강의를 수강할 정도의 난이도는 아닙니다. 2025년 검수사 시험 일정은 1차 시험 2025년 5월 31일, 2차 시험 2025년 8월 22일에 예정돼 있습니다.
합격률 및 난이도
검수사 시험 합격률 및 난이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수사 시험 최근 합격률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검수사 시험 합격률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며, 2023년도 시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필기시험은 접수 643명, 응시 422명으로 응시했고 그중 229명이 합격해 54.27%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3년 실기시험인 면접시험의 경우 접수 279명, 응시 242명이 응시했고 그중 186명이 합격해 76.85%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2년과 2021년도 1차 시험 최종 합격률은 60.93%, 34.65%입니다. 2차 시험 합격률은 67.28%, 76.42%입니다. 2021년 1차 시험 34.65%를 제외하면 합격률이 매우 높은 시험으로 난이도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 시험에서는 70% 이상의 합격률을 보이며 필기시험과 실기시험 모두 난이도가 높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검수사 시험 합격정보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운영하는 큐넷 홈페이지 자격상세정보에서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