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검량사 시험공부방법 난이도

    검량사 시험공부방법

    검량사 자격증은 제삼자의 위치에서 중량을 공정하게 증명하는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제정된 자격종목입니다. 검량사 시험 합격을 위한 공부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검량사 1차 시험은 필기시험으로 치러집니다. 필기시험 과목은 선박의 구조 및 홀수계산방법,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영어 세 과목이며 객관식입니다. 시험시간은 총 75분이며 문항수도 75문항입니다. 검량사 1차 시험에서는 선박의 구조 및 홀수계산방법, 검량에 관한 일반적 지식, 영어 총 3과목에 대한 내용을 이론부터 꼼꼼하게 공부해야 합니다. 각 과목에 대한 기초이론을 숙지 후 과년도 기출문제들을 반복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차 시험은 필기시험 과목의 이론·실무 지식 및 응용 능력에 관련된 질문이 출제되기 때문에 1차 시험 때부터 이론 공부를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량사 2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치러지며 1차 시험과목 전반에 관한 내용에 대한 검정으로 시험시간은 5분입니다. 검량 관련 전문용어에 대한 이해와 숙지를 하여 질문에 명확한 답변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험준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 유형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면접시험은 실제 현장 상황 대처 및 문제 해결 능력 등에 대한 내용을 질문하기 때문에 사례에 따른 답변을 미리 준비하고 충분히 연습해야 합니다.

     

    난이도와 합격률

    검량사 시험 난이도와 합격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검량사 시험의 경우 난이도 자체는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선박, 화물, 무역과 관련된 학과를 나오지 않거나 종사하지 않았던 수험생의 경우 시험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필기 세 과목 중 영어가 있기 때문에 평소 영어과목이 어려운 수험생은 난이도가 높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2024년 검량사 시험 1차 합격률은 약 45%, 2차 합격률은 80%대의 합격률을 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확한 통계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정확한 통계가 나온 2023년 2023년 시험 합격률의 경우, 1차 시험은 280명이 접수하고 213명이 응시, 89명이 합격해 41.78%의 합격률을 보였으며, 2차 면접시험은 98명이 접수하고 92명이 응시, 81명이 합격해 88.04%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2년 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은 38.65%의 합격률, 실기시험은 82.19% 합격률, 2021년 시험의 경우 필기시험은 57.59%, 실기시험은 75.65%의 합격률을 보였습니다. 2020년 1차 시험은 43.46%, 2차 시험은 74.73% 합격률, 2019년 1차 시험은 45.03%의 합격률, 2차 시험은 82.47%의 합격률을 보입니다. 최근 시험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시험이 필기는 50% 이상의 합격률, 실기는 80% 이상의 합격률을 보입니다. 검량사 시험 합격률을 통해 난이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연도별 난이도가 편차가 크며 검량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수험자에겐 어려운 시험입니다.

     

    자격증 취득 후의 역할

    검량사 자격 취득 후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검량사가 담당하는 검량이 무엇인지부터 파악해 보겠습니다. 검량이란 단어의 뜻은 선적 화물을 양하 또는 적하하는 과정에 화물의 중량 또는 용적의 증명이나 계산을 행하는 일을 말합니다.단순하게 말해 물건의 양이나 부피, 무게를 검사하는 일을 검량이라고 합니다. 검량업이란 국제 간의 합의된 계약에 의한 선적 화물 중 액체화물, 곡물과 같은 산물, 기체화물 기타 각종 저장탱크와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을 이해당사자가 아닌 제삼자의 위치에서 공정한 산정과 검측, 계산하는 것을 말합니다. 검량사는 검측된 내용의 공증적 증명을 행하며 국외적인 분쟁, 손해 등의 발생 시에는 외국 의뢰자들은 검량, 감정보고서를 요청합니다.\검량사 자격 취득 후에는 선박회나 해운회사 등으로 진출이 가능하며 공기업인 지역항만공사, 대한해사검정공사로의 진출도 가능합니다. 해당 회사에 취업한 후에는 주로 항만에서 선적 화물 검량 관련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주로 선박 및 항공을 통해 수출입 화물 손상 검사, 해상운송으로 인해 발생하는 선박 및 화물 사고 검사, 선박을 통해 수출입하는 화물량 검사 및 계산의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대량으로 운송되는 산적화물인 곡물, 광물, 유류 및 목재 등 운송 도중에 손상될 염려가 적은 선적화물을 주로 검량사가 검량합니다.